디자인 툴은 언제나 ‘속도’와 ‘정확성’의 균형을 추구해왔습니다. 특히 프로토타이핑 단계에서 디자이너는 기획서, 사용자 흐름, 브랜드 가이드 등을 바탕으로 수많은 컴포넌트를 배치하고 인터랙션을 연결하는 반복적인 작업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됩니다. 하지만 2025년 현재, Figma AI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획기적으로 바꾸고 있습니다. 단순한 자동화 기능을 넘어, 자동 완성, 구조 추천, 사용자 흐름 제안 등 지능형 기능을 통해 실제 프로토타입 제작 속도를 최대 5배까지 단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자동 완성 : 아이디어만 입력하면 레이아웃이 뚝딱
Figma AI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텍스트 프롬프트 기반의 UI 자동 완성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이커머스 앱의 로그인 화면”이라고 입력하면, Figma AI는 기본적인 구성요소(로고, 입력창, 버튼, 비밀번호 보기 기능 등)를 자동으로 배치한 화면을 즉시 생성해줍니다. 이는 과거 수작업으로 구성하던 ‘와이어프레임 제작 시간’을 거의 90% 이상 줄여주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이 기능은 특히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유용하게 작동합니다:
- 기획안이 간단히 정리되어 있고, 빠른 시각화가 필요한 경우
- 여러 버전의 화면을 실험적으로 비교해보고 싶은 경우
- 비디자이너(기획자, 개발자)도 빠르게 시안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
자동 완성 기능은 단순한 틀 제공이 아니라, 최근 디자인 트렌드와 브랜드 톤에 맞는 구성을 반영하여 생성됩니다. 사용자가 기존에 작업한 디자인 스타일이 있다면, Figma AI는 이를 학습하여 유사한 스타일로 자동 완성해주기도 합니다. 이처럼 AI는 도구를 넘어 디자인 어시스턴트로 기능하며, 디자이너의 창의적인 고민에 집중할 시간을 벌어줍니다.
구조 추천 : 레이아웃 구성과 인터페이스 설계의 고민 해결
기존의 프로토타이핑 작업에서 가장 시간이 많이 걸리는 부분은 컴포넌트의 배치와 페이지 구조 설계입니다. 특히 복잡한 정보 구조(IA: Information Architecture)를 구현해야 할 때는 수십 번의 수정과 피드백이 오갑니다. Figma AI는 사용자의 입력 내용과 전체 플로우를 파악하여, 화면 간의 논리적 흐름과 레이아웃 구조를 제안해줍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품을 검색하고, 결과를 확인한 뒤 결제하는 플로우를 구성해줘”라고 입력하면, Figma AI는 아래와 같은 구조를 자동 추천합니다:
- 홈 화면
- 검색 화면
- 검색 결과 리스트
- 상품 상세 화면
- 결제 화면
- 구매 완료 화면
각 화면은 기본적인 UI 요소와 함께 연결된 인터랙션도 포함되어 생성되며, 추천된 구조는 디자이너가 언제든 편집하거나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사용자가 선택한 UI 라이브러리나 디자인 시스템(예: Material Design, Apple Human Interface Guideline)에 맞춰 자동 정렬 및 스타일 적용까지 가능해졌습니다.
이러한 구조 추천 기능은 특히 스타트업이나 초기 프로젝트에서 유용합니다. 제한된 리소스와 시간 속에서도 빠르게 MVP(Minimum Viable Product) 수준의 프로토타입을 제작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나 내부 팀원에게 직관적인 화면 흐름을 신속히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됩니다.
사용자 흐름 제안 : UX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자동 연결
프로토타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단순한 UI가 아닌 사용자의 행동 흐름을 설계하는 UX 플로우입니다. Figma AI는 여기에 특화된 기능도 제공합니다. 여러 개의 화면을 생성한 뒤 “로그인 → 홈 → 상품 보기 → 결제 → 확인”이라는 흐름을 입력하면, AI는 해당 순서대로 화면을 연결하고, 적절한 인터랙션 트리거(예: 버튼 클릭, 페이지 스크롤)를 설정해줍니다.
특히 Figma AI는 사용자의 흐름을 단순히 선으로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각 화면 간의 논리적 동선과 사용자 피드백 요소까지 제안합니다. 예를 들어, 결제 버튼 클릭 후 로딩 화면을 잠깐 추가하거나, 비밀번호 오류 시 경고 모달을 자동 배치하는 식입니다.
이러한 기능은 UX 디자이너가 직접 구성해야 했던 시나리오 작업을 크게 줄여줍니다. 또한 AI는 동종 서비스의 사용자 흐름 패턴을 분석해 최적의 경로를 추천하기 때문에, 초보 디자이너도 빠르게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Figma AI의 UX 흐름 제안 기능은 다음과 같은 작업에 특히 유용합니다:
- 사용자 시나리오 기반 서비스 기획
- A/B 테스트용 다양한 흐름 구성
- 디자인 QA 단계에서 오류 흐름 점검
결론 : Figma AI는 속도뿐 아니라 방향까지 제시한다
Figma AI의 도입은 단순히 작업 시간을 줄여주는 자동화 기능을 넘어서, 디자인 전략 수립 단계부터 실제 인터페이스 구축까지 아우르는 지능형 도구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자동 완성 기능은 반복 작업을 줄이고, 구조 추천은 레이아웃 설계를 빠르게 하며, 사용자 흐름 제안은 UX 관점에서의 완성도를 높여줍니다.
결국 디자이너는 더 이상 하나하나의 요소를 수작업으로 조립하는 작업자가 아니라, AI와 함께 전체 경험을 설계하고 전략을 세우는 창의적 설계자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프로토타이핑은 빠르고 정확하게, 그리고 더 전략적으로 바뀌는 중입니다. Figma AI는 그 혁신의 중심에 있습니다.